DDD

DDD. 애거리루트 정리

반응형

애그리거트는 관련된 객체를 하나의 군으로 묶어주는 것 으로 상위수준에서 모델을 조망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애그리거트는 비슷한 속성을 가진 객체를 묶어놓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문 시스템에 주문 관련 애그리거트는 Order, Receiver, OrderLine.. 등이 있고 회원정보에는 Member, MemberInfo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애그리거트에 연관된 객체를 담고 있으며 유사하고 동일한 라이프 사이클을 보유하고 있다.

애거리거트 루트


애그리거트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주체 즉, 애그리거트 전체를 관리하고 책임지는 주체를 애그리거트의 루트 엔티티라고 한다. 애그리거트내에 존재하는 모든 엔티티는 루트 엔티티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애거리거트 루트의 핵심 역할은 애거리거트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애거리거트의 주요 기능은 애거리거트 루트 엔티티에 구현되어야 한다. 다시말하면 애거리거트 루트가 아닌 다른 객체가 애그리거트에 속한 객체를 직접 변경하면 안된다. 

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애그리거트가 있고 루트 엔티티로 Product가 있을 때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 ProductInfo의 price를 할인율 반영없이 단순히 변경하면 모델에 일관성을 깨트릴 수 있다.

ProductInfo productInfo = product.getProductInfo();
productInfo.setPrice(price);

또한 이렇게 변경하면서 중간에 할인율을 검사하도록 할 수 있지만 매번 중복된 코드가 만들어 질 수 있다.

ProductInfo productInfo = product.getProductInfo();
price = priceCalculator(price);
productInfo.setPrice(price);

 

트랜잭션의 범위


트랜잭션의 크기는 작을 수록 좋다. 하나의 트랜잭션에서 두 개 이상의 애거리거트(주문, 사용자정보등등)를 수정하게 되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주문을 하면서 입력한 배송지를 사용자의 기본 배송지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주문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동시에 수정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Order라는 애거리거트 루트에서 값을 두개 모두 수정하지 말고 OrderService라는 곳에서 값을 수정하는것이 옳다. 간단하게 보면 다음과 같이 OrderService에서 수정하는 것이 옳다.

public class OrderService {
  public void order(ShipInfo ship, isNewShippingAddr) {
    if(isnewShippingAddr) custermer.setAddr(ship.getAddr());
  }
}

 

애거리거트 필드 참조


애거리거트에서 다른 애거리거트를 필드로써 참조할 수 있다. 아래 예처럼 학교라는 School 클래스에 Student라는 애거리거트를 필드로써 참조 할 수있다.

public class School {
    private Student student;
}

이럴경우 ORM을 통해서 데이터를 함께 가져올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단점이 있다.

1. 편한 탐색 오용
- 편하게 필드로써 애그리거트에서 다른 애그리거트를 접근할 수 있으므로 다른 애그리거트내에서 다른 애그리거트의 값을 수정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2. 성능에대한 문제
- 이는 사용에 따라서 lazy와 eager 둘 중의 하나로 선택해서 진행할 수 있다.
3. 확장이 어려움
- 만약 확장해서 student를 다른 도메인으로 빼고 싶을경우에 연관성이 깊어지다보면 분리하기 어려워서 확장이 여려워진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School 내부에 Student라는 애그리거트를 포함하지 말고 student의 id인 studentId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럴경우 School에서 Student를 수정할 문제도 방지할 수 있고 lazy, eager를 고민할 필요도 dbms 확장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애거리거트에 연관을 ID로 했을 시 상황


만약 School 내부에 Student가 List형태로 있다고 가정했을 때, 모든 학생정보를 가지고 오기 위해서 학생들 정보를 하나씩 다 가져와야한다.

이는 결국 School과 내부에 있는 학생들 수인 N개를 합쳐서 N + 1번 조회하게 된다고 해서 N+1문제라고 한다. 이를 속도가 엄청 느려지기 때문에 해결하기 위해서 조인을 사용해야 한다. 이런문제는 JPA에서 쿼리를 직접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등을 사용해서 해결하거나 이부분만 mybatis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출처 : DDD Start 도메인 주도 설계 구현과 핵심 개념 익히기 (출판 지앤선, 저자 최범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