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귀

    백준 알고리즘 4150번 피보나치 수 문제

    저번에 공부한 BigInteger를 응용하여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자. 이번문제는 피포나치 수열을 해결하는 문제이다. 저번에 포스팅 했었던 피보나치 수열을 구하는 방법은 재귀와 DP 그리고 반복문이 있다. 이번 문제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구해보자. 위에 문제를 보면 데이터의 결과 크기가 Long의 범위를 벗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담기위해서 BigInteger를 사용하였다. 생각보다 문제는 간단하나 여러가지 경우를 정리 할 수 있었서 좋았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package test; import java.math.BigInteger;import java.util.ArrayList;imp..

    재귀 문제점과 꼬리 재귀와의 함수 비교

    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재귀함수에는 일반재귀와 꼬리 재귀가 있는데 나는 둘 다 사용해온것 같은데 정확한 명칭과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같아 정리하게 되었다. 코드도 짧고 간결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결국에는 함수를 계속 호출하는 방식이기에 함수가 끝나고 돌아가야할 위치에 대해 스택에 기록된다. 계속 함수가 호출되어 스택 영역의 최대 이상의 크기를 넘어가게 되면 Stack over flow가 발생한다. 편리함을 찾다가 더 위험한 상황이 초래된다. 그리고 성능적으로도 문제가 있다. 피보나치 수열의 예시를 확인해보자.12345private static int factorial(int n) { if (n == 1) return n; return n * f..

반응형